top of page

탄소중립 기본법 완벽 정리, 정부와 기업이 할 일은?




혹시 탄소중립 기본법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? ​



기후위기가 점차 심각해짐에 따라 지구촌 곳곳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. ​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 역시 탄소중립을 노력하고 있는데요, '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·녹색성장 기본법'은 그 실천을 법제화한 것이라고 해요. ​



​ 탄소중립 기본법은 2021년 9월 24일 제정 및 공포되었고, 이후 2022년 3월 22일 시행령 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어 2022년 3월 25일부터 법안이 시행되었는데요. ​ 이로써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14번째탄소중립을 법제화한 나라가 되었다고 하네요. ​



탄소중립 기본법 주요 내용



탄소중립 기본법의 비전과 국가전략은 이렇습니다.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여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비전으로 삼았는데요. ​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약 40% 감축시키는 것을 중장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로 지정하였습니다. ​



​ 사실 우리나라는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편이라 온실가스 감축이 쉽지 않다고 해요. ​ 그럼에도 높은 목표치를 잡은 것으로 보아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가의 확고한 의지를 느낄 수 있네요. ​



​ 또한 정부는 '온실가스감축인지예산'과 '기후영향평가'를 도입해 국가 주요계획 및 대규모 개발사업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을 노력하려 하는데요, ​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는 '탄소중립도시'를 추진해서 탄소중립 관련 계획 및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탄소중립을 공간적으로 구현하는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합니다. ​



​ 더욱 심화되는 기후재난에 대비하고 기후위기에 적응하기 위한 마련으로는 ​ '기상정보관리체계'를 구축·운영하며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 변화를 측정·조사·공개하고, ​ '기후위기적응정보관리체계'를 통해 기후위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·평가할 예정입니다. ​



​ 정부는 또한 기후위기에 취약한 계층 등의 일자리 감소 및 지역경제의 영향 등 사회적·경제적 불평등에 관한 지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인데요, ​ 탄소중립 사회로 이행하며 사업전환 및 구조적 실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재교육·재취업 등을 지원 혹은 생활지원 방안을 마련한다고 해요. ​



​ 정부는 '기후대응기금'을 신설해 운영하며 탄소중립 정책의 추진과 산업구조 개편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 중이라네요. ​ 지역사회와 국민 생활 속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생활이 확산 가능하도록 탄소중립 생활 실천 시 혜택을 제공하는 '탄소중립실천포인트' 제도와 지역 기반 탄소중립 모델의 전문기관으로서 '탄소중립 지원센터' 설립을 추진한다고 해요. ​ ​

 

탄소중립실천포인트와 투명 페트병 포인트를 얻고 싶다면? https://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blogId=inobus&logNo=222976915801&categoryNo=7&parentCategoryNo=&from=thumbnailList

 

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따라서 기업의 움직임도 많이 달라지고 있을 텐데요, ​ 많은 기업에서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기에 탄소중립 기본법을 제대로 파악하는 일 또한 중요해 보입니다. ​

어제에 이어 오늘도 탄소중립에 관한 이야기였는데요, 탄소중립 실천이 법제화가 되었으니 열심히 친환경 생활을 노력해야겠어요. ​ 정부와 기업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참여도 중요한 탄소중립 실천, 우리 모두 건강한 지구를 위해 노력하기로 해요. ​

더욱 유익한 게시글로 다시 찾아올게요!

조회수 13회
bottom of page